Showing posts with label Social work news.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Social work news. Show all posts

Tuesday, 30 October 2012

Korean news on dementia...치매 간병...

It is a very dark news on the burden on families to care for people with dementia
that the older people are being murdered or they are committing suicides.

I think this an a social matter that the state has to intervene in order to assist families
to support their love ones. It is time that Korea cannot take informal carers for granted!


치매 아내 목 졸라 숨지게 한 남성,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은 뒤 투신 시도

[간병 살인… 고령화 한국, 평범한 가정의 비극]

혹시 내가 먼저 가면 당신, 자식들에 짐 되잖아… 사랑하니까 함께 가자

2년 지극정성 돌보던 70대, 아내 살해 후 투신 시도… 아들 "아버지 이해합니다"


국내 치매환자 53만명… 그 72%는 가족이 돌봐

최근 2년새 '치매 자살·살해' 언론에 보도된 것만 10건

이젠 가족문제 아닌 국가문제… 지원 없을땐 '우울한 범죄'


조선일보
박상기 기자
입력 2012.10.31 03:20
수정 2012.10.31 07:38

 지난 19일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아파트에서 치매에 걸린 아내 조모(74)씨를 목 졸라 숨지게 한 혐의로 이모(78)씨가 경찰에 구속됐다. 이씨는 50여년간 함께 살았던 조씨가 2년 전 치매에 걸린 뒤부터 병시중을 도맡아 왔다. 조씨가 숨지자 이씨도 스스로 아파트에서 투신하려다 때마침 집에 온 아들이 막아 자살은 하지 못했다.



이 사건은 우리 사회에서도 고령화 사회의 우울한 현상인 '치매 동반 자살' '치매 살인' 같은 끔찍한 일이 시작됐음을 보여준다. 일본에서는 이미 지난 1980년대부터 치매 자살, 치매 살인 등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했다.




↑ [조선일보]경기 동두천시의 한 요양원에서 치매 노인이 팔을 베고 복도에 누워 있다. 그나마 이처럼 요양원 등에서 간병인의 도움을 받고 있는 치매 환자는 전체의 28%에 불과하다. /정경열 기자



↑ [조선일보]일러스트=이철원 기자

경찰에 구속된 이씨는 서울의 한 명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건설 회사에 들어가 40년 가까이 일했다. 퇴직 후 이씨는 조씨와 여가를 즐기며 살았다. 그러던 중 2년 전 조씨의 치매 증상이 시작됐다. 이씨는 두 아들과 며느리에게 "병간호는 모두 내가 할 테니 신경 쓰지 마라"고 했다. 이때부터 이씨는 24시간 내내 아내 조씨 옆에서 병세가 호전될 수 있게 책을 읽어 줬고, 옛 이야기를 들려줬다. 종교 생활도 시작했다. 2년 내내 하루도 빠지지 않고 조씨의 손을 잡고 새벽 기도를 나가 치매를 낫게 해달라고 함께 기도했다. 이씨는 그전에 여러 모임에 나가 친구들과 어울리길 즐겼지만, 2년 동안 한 번도 모임에 나가지 않았다.



이런 노력에도 조씨의 상태는 1년 전부터 급속히 악화됐다. 조씨는 이씨에게 폭력을 휘두르고 욕설을 했다. 그래도 이씨는 조씨를 요양 시설에 보내거나 간병인을 쓰라는 주변의 권유를 듣지 않았다. 아내가 치매를 앓고 있다는 게 알려지는 걸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부부의 아들은 경찰 조사에서 "아버지가 정말 많이 힘들어했다. 그러면서도 자식들이 어머니 병간호를 못 하게 했다. 당신의 아내이니, 당신이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셨다"고 말했다.



사건이 발생한 날 오후 9시, 함께 사는 아들 내외는 회사에서 돌아오지 않았고, 손자들도 학교에서 공부하던 중이라 집에는 노부부뿐이었다. 자려고 누운 이씨에게 조씨가 베개와 옷걸이를 휘두르기 시작했다. 이씨가 제지하자 리모컨을 집어던졌고, 어려서 부모를 여읜 이씨가 평소 가장 싫어하던 말인 '부모 없이 막 자란 놈'이라고 욕을 했다.



이씨가 조씨를 밀어 넘어뜨렸다. 이씨는 경찰에서 "아내 목을 잡고 '여보, 이제 그만하자. 같이 가자. 사랑하니까 내가 이러는 거야'라고 말했다"고 진술했다.



조씨가 숨지자 이씨는 아들에게 전화를 걸어 "내가 네 어머니를 죽였다. 나도 따라간다"고 말했다. 속옷 차림이던 이씨는 이대로 뛰어내리면 자식들에게 창피를 줄 것 같아,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었다. 베란다에 한쪽 다리를 걸친 순간, 아버지의 전화를 받은 아들이 때마침 집으로 뛰어들어왔고, 이씨의 투신을 막았다. 경찰 조사에서 아들은 "아버지를 이해한다"고 말했다.



이씨는 경찰에서 "내가 아내보다 먼저 죽으면, 저 사람을 누가 거두어 주나 걱정했다. 자식들에게 짐을 남기고 갈 순 없어 같이 죽어야겠구나 하는 생각을 많이 해 왔다. 함께 갔어야 했는데…" 하고 말했다.



고령화 사회의 질병인 치매 때문에 벌어지는 자살·살인 사건은 이미 우리 사회에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작년 10월엔 전북 익산에서 이모(75)씨가 치매를 앓던 부인 김모(69)씨를 살해하고 자신도 목을 매 숨졌다. 올해 2월엔 대구의 한 병원에 입원했던 치매 환자 A(60)씨가 신병을 비관해 병원 창문 밖으로 뛰어내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지난달 26일엔 전남 곡성에서 오모(78)씨가 치매를 앓던 부인 윤모(76)씨와 함께 농약을 마셔 음독자살을 시도했다가 이웃에게 발견돼 병원으로 옮겨져 목숨을 건졌다. 오씨는 '요양원에 보내자'는 자식들의 권유를 뿌리친 채 1년 전부터 아내를 병간호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치매에 걸린 노인이 자살하거나, 치매에 걸린 배우자를 살해하고 자신도 자살해 언론에 보도된 사건만 지난해부터 10건이 넘는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 어느 기관도 치매 등 노인 질병과 관련한 사건·사고 통계는 없다. 전문가들은 언론을 통해 알려진 것 외에도 수많은 사례가 있을 것이라 추정한다.



보건복지부 에 따르면 우리나라 치매 환자 수는 올해 10월 기준 53만여명이다. 최근 4년 사이 10만명이 늘었고, 2025년이면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53만여명 중 국가가 지원하는 요양 시설과 간병인 도움을 받는 사람은 14만9000명이고, 나머지는 가정에서 각자 알아서 치매 환자를 돌보고 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지난 2000년 고령화 사회(65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에 진입했고, 2017년엔 고령 사회(〃14% 이상)를 맞이할 예정이지만, 치매 등 노인 질병에 대한 관심이 부족해 가족이 온전히 그 부담을 감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김동배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는 우리 사회에서 대표적 노인 질병인 치매는 더 이상 개인 문제가 아니다"며 "부부 또는 가족끼리만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앞으로 이런 우울한 범죄가 계속되고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윤석명 연구위원은 "치매에 걸린 노인이 병을 창피해하고, 가족도 이를 숨기려 하는 경우가 많다"며 "국가 차원에서 이들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치매가 개인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임을 인식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onday, 9 July 2012

Personal Health Budget

Researchers at SPRU have interviewed people taking part in the pilot of Personal Health Budgets (PHB) in England, 9 months after they had been offered their own budget. The overall picture emerging from our findings is one of appreciation for the new way of funding, together with improvements in health and well-being; for the people with long-term health problems, and for their carers and family members. Problems and delays have also played a role in the implementation, sometimes threatening to undermine the good that the PHB has done.

People found that PHBs:
  • increased their sense of control over their illness and treatment
  • led to improvements in mental health
  • led to less use of services facilitated
  • greater continuity of care.
The access to services not normally provided by the NHS was another benefit of the scheme. People used it to take part in exercise, or activities that improved self-confidence and their social lives, which then led to reduced use of GP services and prescriptions. The increased health of the budget holders or use of PHBs to provide care, led to less demands and stress on family and informal carers. Most people interviewed felt that they were best placed to know their own needs and what would make them feel better.

There were however problems with the implementation. People recounted the frustration of having their requests for services refused by PCT staff who had responsibility for signing the care/support plans. There seemed to be a lot of confusion amongst people and between different PCTs as to what PHBs could be used for; particularly whether budgets had to be limited to narrow health-related uses or could be used for wider well-being gains. There were a lot of delays reported: first in getting approval and then with setting up the services. These could cause disappointment and distress.

For more details you can download the report, which includes an executive summary,
by clicking this link: http://php.york.ac.uk/inst/spru/pubs/2222/

Reablement

Home care re-ablement is high on the English adult social care policy agenda.
It aims to help people regain skills and confidence so they can live as independently as possible, thus reducing needs for longer-term home care servic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what re-ablement involves or how best to organise services. 

This first study of five well-established re-ablement services shows which features are considered to contribute to success.

The findings reported here constitute part of a larger study into the long-term impact of home care re-ablement services.

The full report and a summary are available from:
Full Report

Wednesday, 18 April 2012

Research Updates

SPRU 2011 Annual Report is now available.

It contains a wide array of social policy research, 33 projects in total, covering:

* social care services - choice and personalisation, integration, transition
* disability, long-term, and life-limiting conditions - children, young people and adults
* welfare to work
* foster care, maltreatment and corporate parenting
* health and work

We also feature reviews of: our successful 5-year DH Research Programme; the best way to deliver care closer to home; the impact of our work on policy and practice; aiding Parliament as expert witnesses and workshops on becoming a researcher. There is information on the many external activities that we take part in which contribute to the health of the social policy community, and news of all our publications and international presentations in 2011.

http://php.york.ac.uk/inst/spru/pubs/2174/

Wednesday, 12 October 2011

Health and social care bill

Still waiting for the outcome from Parliament.

Choice > Quality???
Health: traded commodity- sounds familiar being a Korean!
Health is not a public utility.- what do you think?

We should think about this issue, it concerns you and
is how your tax is used!

Thursday, 8 September 2011

News on HIV

For my and other people's information....I have copied and pasted an email.



NAT would like to highlight a new report, Fluctuating Symptoms of HIV, which I hope you will find useful in your role as Director of Adult Social Care.

The findings illustrate the dramatic impact of fluctuating symptoms and side-effects including fatigue, depression and anxiety, gastro-intestinal problems and insomnia have on people living with HIV.  Fluctuation has not been a focus of HIV research to date and NAT is concerned that the impact it has on quality of life is often overlooked - including in social care needs assessments.
 
We are particularly concerned that the complex and variable nature of these health problems means they do not easily align with the approach to long-term conditions used within assessments.  I would like to highlight the following recommendation from the report:

At present, high eligibility thresholds prevent many people with HIV from accessing social care, even when they have clear health-related support needs.  Assessment criteria should consider the impact of fluctuation and the cumulative impact of multiple, lower-level symptoms on people living with HIV.

Social care is vital for helping people with HIV who experience such symptoms stay well, avoiding the need for greater support in future.  NAT urges local authorities to take greater consideration of these health impacts when assessing people with HIV for social care.  For more information on the importance of HIV social care, you can download our recent report on the impact of social care support for people living with HIV.

Wednesday, 6 April 2011

Future of NHS


Britain's new financial year starts today
and there are more news on further cuts to public services. 
Yes, the hospital will cost a fortune
as it's literately by the river and facing the Parliament.
Anyone interested to be the watchful eye of the government?

This photo is from today's Evening Standards
which is really funny and sad.

David Cameron- Prime Minister
Andrew Lansley- Secretary of State for Health
Nick Clegg- Deputy Prime Minister

More news clink here!


Saturday, 2 April 2011

Bye Law

The lie-down protest this time did not attract many
people being the 3rd one. But whoever came I think 
had a good time talking to each other under the sun. 
Here is the photo gallery of the day.
Deck, the gorgeous dog was the highlight!























Sponsored by
Housing Justice, London Soup Run Forum, 
The Simon Community, The Pavement,
The Methodist Church, Zacchaeus 2000 (Z2K)

Thursday, 31 March 2011

Street Soup Run- a crime?

Is the Tory government going too far?
Southwark cutting homeless budget by 40% is going to
be a hard time for the public service- housing, health and social care.
I feel it at work already with the cut under way. 
Bye-Law in consultation....
Westminster council to ban rough sleepers and free food distribution.
I guess they will try to pass it before the Royal wedding to clear the streets!
(click here to read more about it.) 



























Homelessness is so close to heart as that was what made
who I am now. The amazing encounters and laughter I had
with the people who I worked with. They were the great teachers
for me to find my passion and propose of life.

Come and join the interesting lay-down protest in Westminster Piazza
on Saturday 2nd April 2011 12pm - 4.30pm




Monday, 4 October 2010

Long-term neurological conditions

Integrated services for people with long-term neurological conditions:          Evaluation of the impact of the National Service Framework


Many people with long-term neurological conditions (LTNCs) require support from a range of services, but these services do not always work in a joined-up way. The National Service Framework (NSF) for Long-term Neurological Conditions recognised the ne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to service delivery. Our study explored what helps or hinders service integration. From this we identified three types of service that promote continuity of care:
  • Community, interdisciplinary, neurological rehabilitation teams 
  • nurse specialists, proactive
  • holistic day opportunities services.
We then conducted a survey of all English Primary Care Trusts (PCTs) to assess the initial impact of the National Service Framework on integrated service provision.

Our findings show that:
  • access to these important services is frequently compromised by restrictive eligibility criteria, ill-defined pathways and a lack of availability locally
  • neurological charities and other voluntary sector organisations play a key role in improving access and promoting continuity of care 
  • implementation of the NSF for LTNCs has been hindered by competing policy, organisational and financial priorities.

The summary and the full report are available from:


Wednesday, 18 August 2010

Reform, Changes, Cuts....

Public spending cuts are announced almost everyday.

Local authority saving of 25 % was announced few months ago.
Strategies and mechanisms have been introduced but
we shall wait and see whether it will actually work.
As we are already finding faults in the system.

Minsitry of Justice was all over the news last week,
Department of Work and Pension is on today regarding
the reform of the universal benefits,
Winter Fuel Allowance and Child Benefit.
Cutting Winter Fuel Allowance for over 60 and raising the age to 65. Child Benefit may be reduced? or Means-tested?

Click here to read more....BBC News

Why do I do this to myself during my lunch time?
Reading these news....
Maybe I cannot get away from my work! I'm sure not!!!!


.

Friday, 6 August 2010

Future Generations...

I read an interesting article at my lunch which I would like to share. Below is a quation to remember.

'......At this point you may think I've completely lost the plot.
Of course, you'll say, we protect the elderly, and the NHS.
And of course most of its Budget gets spent on people
at the very end of their lives. But that's what
the welfare state is all about -
not one generation stealing from another,
but one generation doing for their elders
what they hope their children will do for them.....'


Click below for the full article.
BBC- Stephanomics
http://www.bbc.co.uk/blogs/thereporters/stephanieflanders/2010/08/spreading_the_budget_pain_2.html

Thursday, 29 July 2010

DLA & AA

Disability Living Allowance (DLA) and Attendance Allowance (AA) are one of not many non-means tested state benefits. Most of my service users are entitled to a certain level of DLA as they are under 65 and AA for over 65s. (rates for 2010-11)

Disability Living Allowance is in two parts - the care component and the mobility component. You may be able to get just one component or both.
Care component Weekly rate
-Highest rate £71.40
-Middle rate £47.80
-Lowest rate £18.95
Mobility component Weekly rate
-Higher rate £49.85
-Lower rate £18.95
Attendance Allowance Weekly rate
-Higher rate £71.40
-Lower rate £47.80

Below is a research summary I receive to update myself with social policy areas. Have a read and try the link at the bottm for further details.

*******************
SPRU undertook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government to understand more about the impact that Disability Living Allowance (DLA) and Attendance Allowance (AA) have on people’s lives, as relatively little was known about this. The research team talked to professionals and advisers who were in touch with people who claim, as well as to claimants themselves.

Findings showed a wide range of ways in which DLA and AA are currently enabling elderly and disabled people to afford to pay for services and items they need. It was found that the benefits:
·         have preventive roles in helping people avoid moves into residential care or nursing homes, and maintaining or avoiding deterioration in health.
·         have a key role in reducing potential demand for formal services. This happens by enabling people to find their own solutions, both in the market place, and in accessing services from voluntary organisations, which are often not cost-free for users.
·         recipients also believed that the gifts and ‘treats’ they were able to give to relatives and friends who gave practical care and assistance, helped to maintain the channels of informal support within families and communities, on which they depended.

For child recipients of DLA, parents were using the benefit in ways that will enhance their child’s future life chance and opportunities. They were paying for tuition, physiotherapy, speech and language therapy, and equipment to encourage learning and stimulate response, all with a view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child. In some families, DLA was being used in ways which support and strengthen family life.

A further research aim was to inform the possible development of quantitative research instruments for measuring the difference made by DLA and AA and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this.

The research report, appendices and summary are available from:

********************

Tuesday, 30 March 2010

Social Care Reform by Labour


오늘 뉴스에서 주요 뉴스로  노인복지개혁에 대해서 다루었다. 
노동당의 정책 재안이었다.
영국에 대선을 앞두고 표밭 관리는 하는 느낌이
양당에서 강하게 풍겨지고 있다.

병원 입원 횟수를 줄이고, 양로원보다는 집에서 
최대한 기거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자는 것이 골자다. 예전에도 들었던 말인듯??

위 해당 뉴스는 아래 링크에서 더 자세히 보시길...

http://news.bbc.co.uk/1/hi/health/8593118.stm

Monday, 25 January 2010

Law? Moral? Care?

영국에서 2주 연속으로 중증  장애를 앓고 있는 자식의
죽음을 도운 아니면 자식을 죽인 어머니에 대한 기사가
화재거리가 되고 있다. 두 성인이 다 신체 장애를 갖고
있었기에 나의 관심을 끌기도 했고 생각을 할 기회가 되었다.

오늘은 31살의 딸을 죽였다는 죄명으로 법정에 서서
무죄판결을 받았다.ME (Myalgic Encephalomyelitis) 나
CFS (Chronic Fatigue Syndrome)을 17년간 앓고 있었다고 한다.
이 여자는 심지어 먹는 기능마저 상실하여서 인공관을 통해서
음식 섭취를 하는 정도였다. 그녀의 편안한 마지막을 도운 어머니.
위 사건의 기사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더 자세히...

http://news.bbc.co.uk/1/hi/england/sussex/8479211.stm

나도 일을 하면서 CFS case 가 있었지만 이 병명은
신체 장애와 정신질환에 걸쳐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보통은 신체 장애로 분류가 되는 것이 통념이다.

자살인지 타살인지에 대한 토론과 윤리적으로 옳은지
현재의 영국법률들이 현재 일어나는 사회 현상들과
얼마나 개연성이 있는지를 물어보는 사건인 것 같다.
오죽했으면 자식의 죽음은 도왔을까? 어느 정도는 동감을
할 수 있는 부분도 있으나 내가 그 입장이었으면 어떻게
했을지는 잘 모르겠다. 어느 관점에 서있냐는 것에 따라서
다를 것 같다. 하지만 아마도 죽음을 돕지는 못 했을것 같다.글쎄?
영화 Easy Virtue에서 젊은 아내가 투병 중이던 남편의
죽음을 도와 법정에 섰지만 무죄 판결을 받았는데 그녀는
'너무도 사랑했기에 그의 죽음을 도울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법률적으로 더 큰 파장이 있겠지만 윤리적으로
보자면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이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자살이냐 타살이냐.....누구를 위한 것일까?


Tuesday, 12 January 2010

Carers' Assessment

Who are Carers?

A carer is someone who spends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ir life providing unpaid support to
family or potentially friends. This could be caring for 
a relative, partner or friend who is ill, frail, disabled or 
has mental health or substance misuse problems. 

(defination by Department of Health DoH)

오늘의 교육 주제였다. 
새로운 것을 많이 배울거라는 기대보다는 업무밖에서 
법률과 현재의 실천방법 등을 다시 돌아볼 수 있는 기회인거 
같아서 참석을 했는데 아주 만족스러웠다.바쁜 일상의 업무에서는 
생각을 할 시간이 거의 없다. 그래서 교육 시간을 통해서 잠시 
쉬었다가 간다는 생각을 종종 한다. 
Carer는 나의 개인적인 관심 분야이기도 하다. 
영어로 표현하면 "The topics on carers are very close to heart." 
한국말로 이걸 어떻게 맛깔스럽게 말하지?
그리고 Carer를 한 단어 한국어로 표현하기 힘든거 같다. 
돌봄이도 아닌거 같고... 따라서 이하 글에서는 Carer라고 그냥 쓰겠다.

DoH의 위 정의는 많은 용어들이 추가적인 정의를 필요로 한다.
significant proportion? potentially friend? frail? 
그  이유는 carer에 관련된 법률들의 적용에 있어서 
이 모호한 정의는 우리 같은 사회복지사들로 하여금
많은 어려움을 양산한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carer들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첫 법룔이 1996년부터 적용이 되면서 많은 시행착오
끝에 각 지방자치 사회서비스에서는 우선 carer들은 
선정하는데에는 어느 정도 익숙해져있다. 하지만 이들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아직 duty 가 아닌 power의
단계에 머물러 있음으로써 각 구는 타당한 이유 하에 서비스 
제공을 거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Carer 관련 법률들...

Carers (Recognition and Services) 1995
Carers and Disabled Children's Act 2000
Carers (Equal opportunities) Act 2004
Work and Families Act 2006
Equality Bill 2009 

내가 오늘 새롭게 배우고 적용하고 싶은 것은 carer가 되었을 
때의 단계적인 변화의 모습이다. 4단계로 나누었더군.
                                        *******
1. First Stage
The role of carer is new, there is a period of inital shock and the
demands are high. The realisation that life will never again be the 
same as it was and the illness/disability is something that till be 
ongoing in one form or another. 
Carers may go through feelings of fear, guilt, sorrow, anger, loss, 
compassion, worry, anxiety and love. The potential for social isolation
can begin. Without support and some guidance, carers can fell like 
they are left out in the wilderness. 

전환 단계에서는 변화를 깨닫음으로써 현실로 받아들이는 
다음 단계로 잡어들 수도 있다.

2. Reality Stage
Carer makes the adjustments, incoporates the caring role into
their life, they gradually learn to live with it. They are vulnerable 
to anxiety, stress and depression during this period. 
Also, they experience a sense of loss of self. 
It is marked by feelings of anger, guilt, resentment and lonliness.
Less help is likely to be available from family and friends an caring 
begins to affact their social and personal lives. The carers needs 
can besurpressed as all of the attention is placed on the cared for 
and the caring role. 

이 시점에는 돌봄에 있어서 어려움에 부딪히게 된다. 더 이상은 
혼자서 할 수 없다라고 느끼는 경우들이 많이 있다. 
하나의 위기를 접하게 된 것이다. Hitting rock botton! 
그러면서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도 한다. 

3. Acceptance Stage
Carer accepts that their position will not change unless
they take charge. At this stage carers may get external help
on a bid to realise their own needs. This stage represents a 
pro-active rather than being reactive. There is a change a change
in mindset as well as changes in attitude towards the person they 
care caring for. They have developed a level of experties, familiar
coping routines and possibly a certain co-dependence that might
not be heathily. Some carers can over care or resent they way
caring has taken over their live.

더 이상 돌보는 일을 할 수 없다라는 판단을 내렸을 수도 있다. 
그래서 기관으로 배치를 한다던가 cared for person이 
죽었을 때 는 돌보는 일을 마치게 된다. 

4. End of active caring
It represents the end of the active caring role, althrough it does
not represent the end of the impact of caring. Many carers 
report feelings of guild, loss, grief, anger, sadness and love, and 
need emotional support and assistance in coming of terms with 
their loss.  
                                 *******
모든 carer들이 다 이와 같은 단계를 결쳐가는 것은 아닐 것이다. 
2번째, 3번째 단계를 여러번 왔다갔다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대략적으로 그들의 현위치를 알 수 있다면 더 효과적으로 상담을 
한다던가 도움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위 단계들이 도움이 될거 같다.
 
오늘의 교육은 Carers UK 의 교육자료로 진행이 되었다.





Tuesday, 15 December 2009

Have you cleaned your hands?


 
 
 
회사 건물 내부 곳곳에 붙어있는 
'손씻기' 공공 포스터들이다. 
그냥 생각없이 지나쳤는데 어느날 보니
같은 포스터인 줄 알았더니 다르길래, 
유심히 봤더니 다른 다자인의 포스터 4장을 발견! 


내가 기억하기로는 올해 초부터'손씻기' 공공 포스터를 
화장실과 엘레베이터 주변에서 봤었다. 
참 기발한 아이디어의 디자인이다 했던 것들이 있었다. 

위의 포스터들은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라는
공기관에서 배포중이다.
나도 이번 기회를 통해서 알게된 기관이다.
의료 분야의 정보전달, 지원, 의료기관의 영향력 행사를
중점으로 활동을 하는 정부 기관이다.

지금도 생생히 거억난다.
싱가폴에서 국민학교 3학년 때의 수업 시간이었다.
과학 수업이었을까? 화장실에 다녀오고 손을 씻는것에
대해 배우고 있었다. 선생님이 손을 씻지 않으면 세균들이
너희를 계속 쫒아 다닌다면서 우리한테 화장실에서부터
교실까지 빨간 점을 붙이라고 하셨다. 그 결과를 본 우리는
억!!!! 무서워!!! 했었는데...
교육의 효과가 참 대단하다. 몸으로 배운 것은 쉽게 잊지 않는다. 


난 가방에 젤타입의 손세척제를 항상 구비하고 일을 한다.
때로는 정말 지저분한 집에 방문을 할 때가 종종 있다. 
그래서 한때는 얇은 고무장을 챙기기도 했었다. 
간단하게 오고 가며 손을 씻는다. 
나와 타인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서, 모두가 참여했을 때
효과가 있는 것이지만 나라도 우선하자!




Wednesday, 9 December 2009

Changes in Social Work

최근 영국 사회복지는 Baby P 사건으로 시끌시끌했었다. 
2009년 8월에 17개월 된 남자 아이가 아동보호(Child Protetion)
하에 있었는데 부모의 손에 의해서 살해되었다. 
더 안타까운 것은 이 런던 구는 2000년도 비슷한 경위로  
여자아이, Victoria Climbie 가 살해되기도 했다. 
두 사건의 범인들은 형사처벌을 받고 수감중이다.


미디어게 노출되는 않은 이와 비슷한 사건들이 일주일에도 
몇 건씩 있을 수도 있지만 전국적으로 알려지는 사건들은 
많지 않다. 하지만 우리들이 입는 타격은 생각보다 오래 간다. 
솔직히 사회복지사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Victoria 사건도 아직
생생하다고 한다.성인들과 일을 하지만 같은 직업을 갖은 
입장에서 편할 수만은 없다. 영국의 사회복지의 많은 초점은 
아동에 있다. 법제, 정책, 제도, 자금 등이 이쪽에 집중되어 있으며
법적으로 많들어 놓은 부분들이 많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Inquiry를 갖게 된다. 사건 경위에 대해서 면밀히
조사를 하는 것이다. 그 결과에 따른 제안들에 따라서 우리가 
하는 일에 변화가 오기도 한다. 문제는 제안들에 따른 변화들이
일시적이며 근시안적인 것들이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물론 긍적적인 변화들도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위험부담이 많은 아동보호 부분의 일선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연봉인상...혹! 할 수도 있지만 문제 발생
원인에 맞는 대처는 아니다. 사건들은 과중한 업무와 효과적인
Supervision은 부재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오늘 영국 재무장관 Alistair Darling의 pre-budget report의 
내용도 그리 반갑지는 않더군. 공공기관의 규모를 줄여 
간다고 하니 공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Social services, 
의료, 교육분야가타격을 입을 수 밖게 없다.


Baby P 사건으로 사회복지에 변화들이 예상되지만 
그것이 실행되기까지 얼마나 있어야할 지는 의문이다. 
National College of Social Work 를 만들자는 목소리는 
올 여름부터 있었다. 한편에서는 이것을  Royal College로
승격시켜서 의사, 간호사나 약사와 동등한 위치로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어떤 형태로 세워지던지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에 임하는 우리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일반인들에게
직업의 이해를 높이고 전문성을 키울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아래 링크는 오늘 회사에서 한 동료가 멜로 보내 온 
Baby P 사건 관련 글이다. 우파의 성향이 있는 
신문사인것을 감안하고 보기를... 
http://www.dailymail.co.uk/news/article-1232268/Social-workers-given-pay-rises-wake-Baby-P-scandal.html

아마도 아동팀들에만 연봉 인상이 적용될 듯 싶다. 
그래도 난 아동과는 일하고 싶지도 않고 할 수 없을 것
같다.사회복지사들도 선호하는 분야가 다 있게 마련이다. 
우선은 이 연봉인상 제안이 적용 될지가 의문이다!




Monday, 7 December 2009

SPRU-Transition by disabled young people

Transitions to adult services by disabled young people 
leaving out of authority residential schools


Improving disabled young people's transitions to adult services and 
adulthood is now a government priority. Evidence suggests that 
poor transition planning and outcomes feature too often 
in the transitions of disabled young people 

from children's to adult services. 
Moreover the transitions of disabled young people 
leaving out of authority residential school placements 
can be even more problematic than the transitions of young people 
living with their families and attending local schools.
Interviews with staff and managers working in children's services 
(education, health and social care), adult social care, Connexions and 
transition teams were used to explore how transitions from out of 
authority residential schools to adult services are currently managed. 
This study also identified factors which appear key 

to the transition process and its outcomes.
 
To read the research report and four page summary please follow this link:

http://php.york.ac.uk/inst/spru/pubs/child.php


보통 아동에서 성인 팀의 전환 과정을 보면 거의 일년 전부터 
준비를 한다. 매니저들이 우선은 전환 의뢰를 받고 팀에 18세가 
되는 날부터 성인팀에서 funding 을 시작하게 된다. 
이구동성 하는 소리는 성인 서비스로 전환이 되면 거의 
허허 벌판이라는 것! 위 연구의 초점을 교육이지만 
사회서비스 (social services)도 마찬가지다. *** 세원***

사회정책, 사회복지, 복지, 의료, 빈곤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SPRU는 University of York 의
Department of social policy and social work
산하의 연구소이다.

York Uni는 가 학부 지원을 했을 때 1지망있었는데
불학격이었다. 2지망이었던 Goldsmiths College를
졸업한 것에 대해서는 대 만족이다.
런던이 갖고 있는 성격 덕분에 다양성에
대해서 충분히 배울 수 있는 기회였던거 같다.
                                                   

Saturday, 29 August 2009

Contact Point

월급봉투에 가끔씩 구 (Council) 잡지과
새 정책을 소개하는 팜플렛이 첨부되서 오기도 한다.
이번에는 children and family (18세 미만 서비스)
서비스를 정리해놓은 연락망이다.

Contact Point
Information for Young People and Parents/Carers
by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난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일을해서 내게는
2차적인 정보가 될 것 같다. 그래도 아이들이 있는
서비스 이용자들이 있으니 유용한 정보가 될거라 생각한다.